
큰 구름 (1) 하시모토 요시미 http://www.busanbiennale.org/sub01/05_fix.php?no=606amp;cat_no=666amp;seq=101210amp;type=2amp;year=2002amp;type2=3amp;type3=amp;page=3큰 구름아시아와 유럽을 오가며 활동하는 그는 초기에 동양적 사상을 담은 투조형식의 석조각을 많이 발표하였다. 이들가운데서도 1977년 성 벤델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18M의 대작은 당시 전 유럽의 석조각계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 후로도 세계 여러 나라의 심포지엄과 국제아트페어의 개인전을 통하여 구상과 추상을 자유자재로 구상할 수 있는 석조전문가로 인정받았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존의 석조제작법을 탈피하여 돌이나 물성의 개념을 뛰어넘는 지극히 환상적인 기법에 몰두하고 있다. 구름을 주제로 한 시리즈 작품이 대표작으로 꼽히는데, 이는 석조조각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드조각광장에 7덩어리의 돌들은 서로 맞물려 포개져 있다. 마치 징검다리 같기도 한 이 돌들 가운데 어느 것은 움직이는 키네틱 아트의 개념까지 도입되었다는점에서 흥미롭다. Big Cloud Hashimoto, Yoshimi http://www.busanbiennale.org/english/sub01/05_fix.php?no=3544amp;cat_no=733amp;seq=101210amp;type=2amp;year=2002amp;type2=3amp;type3=amp;page=1Big CloudYoshimi Hashimoto, who is working in Asia and Europe, presented many openwork-type stone sculptures expressing oriental thoughts. Through the symposiums in various countries and the private exhibition in the International Art Fair, he has been recognized as a stone work expert experimenting freely with abstract art and concrete art. However, he has focused on the extremely fantastic techniques, breaking away from his previous stone work techniques and transcending the concept of stone or properties of materials. Series works, with cloud being the subject, are the representatives and they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suggesting a new direction in the stone work sculpture. The 7 masses of stone, which will be displayed on the Asiad Sculpture Plaza, are connected stones an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ome stones among them used the concept of kinetic art moving back and forth. 촬영: 오용웅(오발탄 Ovaltan)촬영 일자: 2014년 10월 16일카메라: Nikon D90렌즈: Nikon AF NIKKOR 24mm 1:2.8이미지 조정 gt; 자동레벨 사이즈 3543 X 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