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613 amp;cat_no=666 amp;seq=101210 amp;type=2 amp;year=2002 amp;type2=3 amp;type3= amp;page=3지구로부터, 가족고베대학 교수로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츄카와키 준은 산나조각대회(1986)에서 대상을 수상함으로써 일본 조각계에 알려졌다. 오랫동안철조에 전념했고 특히 철을 달구어서 연마하는(단조) 철조에서 특히 물성(materials)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는 그는 철조의 단편으로 구성이나 구조적 상황이 없는 물성 그 자체를 표현한다. 이번 부산조각프로젝트에서는철을 달구고 연마하는 작업으로 작품을 제작하게 된다. 현재 조각에서 물성에 관한 부분이 매우 주목되고 있는 것은 여러 장르의 작가와 현재의 여러 조각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번 그의 조각 작품은 환경 친화적이기에 시민들에게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많이 줄 것이다. 단조철의 물성이 지니는 육중한 질감과 함께 고대 건축물의 이미지 또는 서로를 지탱하고 있는 인간 사회의 근원적 구성요소인 가족이라는 이미지를 기념비적인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는듯 하다. From the Earth, Family Tsukawaki, Jun http://www.busanbiennale.org/english/sub01/05_fix.php?no=3539 amp;cat_no=733 amp;seq=101210 amp;type=2 amp;year=2002 amp;type2=3 amp;type3= amp;page=3From the Earth, FamilyThis artist, a professor of Kobe University, started to build up a reputation for himself in the sculpture circle of Japan when he won the first prize in The Sanna Sculpture Competition. For a long time he has devoted himself to steel work, and especially, he has studied the natural properties of materials by heating and grinding steel(forging). He expresses material itself with a piece of steel omitting composition or structural situations. He produces a work by heating and grinding steel for this Busan Sculpture Project. The interest in the natural properties of materials can be found in the artists of various genres and many sculpture works of today. Since this work of his is environment-friendly, viewers can get a sense of closeness to the nature from it. Alongside the massiveness stemming from the materials of forged steel, the image of an ancient structure or the image of a family supporting each other, which is an original constituent of the human society, is expressed as a monumental form. 촬영: 오용웅(오발탄 Ovaltan)촬영 일자: 2014년 10월 16일카메라: Nikon D90렌즈: Nikon AF NIKKOR 24mm 1:2.8이미지 조정 gt; 자동레벨 사이즈 3543 X 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