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nale.org/sub01/05_fix.php?no=692 amp;cat_no=703 amp;seq=101310 amp;type=2 amp;year=2004 amp;type2=3 amp;type3= amp;page=1석굴암은 잘있다초현실주의적 상상력으로 인체 형상의 각 부분을 해체했다가 다시 결합시킨 작품이다. 작가는 여러 사물의 형상들을 변형하고 재구성하여 각각의 사물과 그것의 전체 형태가 새로운 의미를 띠게 된다. 이 작품의 전체 형상은 한국 전통 불교의 반가사유상을 연상시키는 좌상 형태이며,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객체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로써 잃어버린 전통에 대한 산업사회의 반성과 각성을 일깨운다. 그러나 작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직접적이지 않다. 우화적이고 때로는 동화적이어서 보는 이에게 나름의 해석에 의한 다양한 의미를 불러일으킨다. Sukkuram still exists? Jong-Gu Kim http://www.busanbiennale.org/english/sub01/05_fix.php?no=3679 amp;cat_no=737 amp;seq=101310 amp;type=2 amp;year=2004 amp;type2=3 amp;type3= amp;page=2Sukkuram still exists?Using surrealistic imagination, the artist takes each part of human figures to pieces and puts them back. The artist presents each object and the whole figure with new meanings by altering and reorganizing the figures of various objects. The figure of this work takes a sedentary posture and combines various objects in part. It reminds people of Bangasayou Statue in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It arouses the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f the industrial society on the lost tradition. However, the way the artist conveys the message is not direct. Its elements like fables and fairy tales open the door to the freedom of interpretation. ◦ Work Activities- Collective Exhibition· 2003 Busan International Sculpture Exhibition(Busan Metropolitan City Hall)· 2002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of Busan Asian Game-2002-Asian Spirit Exhibition(Busan Cultural Center)Asian Contemporary Sculpture Exhibition(Busan Cultural Center)· 2000 Asian Contemporary Sculpture Exhibition(Fukuoka, Japan)· 1999 Between Fetish and Meaning(Busan Metropolitan Art Museum) 촬영: 오용웅(오발탄 Ovaltan)촬영 일자: 2014년 10월 16일촬영 장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을숙도조각공원카메라: Nikon D90렌즈: Nikon AF NIKKOR 24mm 1:2.8이미지 조정 gt; 자동레벨 사이즈 3543 X 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