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p?no=4975 amp;cat_no=1002 amp;seq=101410 amp;type=2 amp;year=2006 amp;type2=3 amp;type3= amp;page=2눕다이 구조물은 대지에 드러누운 20미터 크기의 인간 형상으로 조각가 3인의 공동작품이면서 동시에 시민들과 함께 제작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부산의 한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이 제작에 참여했다. 작품의 인간 형상은 바닥과 천정이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재 타일로 만들어진 바닥은 대지에 누운 인체 형상으로 사람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된다. 그 위로는 스테인레스 스틸 판재로 만들어진 같은 모양의 천정이 그림자를 만들고 있다. 또한 인체의 배 부분에는 길고 큰 자연석이 있어 사람들은 그곳에 앉아 쉴 수도 있다. ‘대지예술’로 불리는 이러한 작품은 ‘작가/ 관객’이라는 이분법을 허물고, 함께 만들고 함께 이용하며 즐기는 ‘시민참여예술’의 한 사례가 되고 있다. To lie Soo-Mo Chung, Ha-Eung Chung, Song Feel http://www.busanbiennale.org/english/sub01/05_fix.php?no=5673 amp;cat_no=10022 amp;seq=101410 amp;type=2 amp;year=2006 amp;type2=3 amp;type3= amp;page=2To lieThis piece comprises a twenty-meter long shape of a human being lying on the ground. It is the product of three sculptors, as well as students from a Busan-area arts high school. The shape of the human being creates a pair-like impression because the floor and the ceiling have the same form. The floor, made from stone tiles, is in the shape of a reclining person and serves as path for people to walk on. Above the floor, the ceiling, made from stainless steel plates, casts a shadow. In the stomach of the sculpture, a long and large native rock lets people sit down and take a rest. The work belongs to a class of sculpture called land art. With its call for active participation, the art overcomes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the artist as producer and the spectator as observer. Because people help build it, they can use it and enjoy it together. 자료 출처(Credit): 부산비엔날레 홈페이지촬영: 오용웅(오발탄 Ovaltan)촬영 일자: 2014년 10월 9일촬영 장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APEC 나루공원카메라: Nikon D90렌즈: Nikon AF NIKKOR 24mm 1:2.8이미지 조정 gt; 자동레벨 사이즈 3543 X 2353